_t3>
본문 바로가기
악성 뇌종양

교모세포종 치료에 있어서 테모달과 MGMT 유전자의 관련성

by johnprine 2024. 4. 6.
728x90

교모세포종은 악성 뇌종양 중 가장 예후가 안 좋은 암 종류 중 하나이다. 치료를 받지 않을 경우 남은 수명이 3-6개월 정도로 매우 불량한 병이다. 그러나 테모졸로마이드 (Temozolomide)/테모달은 교모세포종 뇌종양 치료에서 생명을 연장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항암제 중 하나이다. 테모달은 뇌종양 세포의 분열을 억제하여 종양의 성장을 억제하는 데 도움이 된다. 그러나 이 약물의 효과는 개인별로 다를 수 있는데 가장 중요하게 여겨지는 것 중 하나가 MGMT(Methylguanine-DNA methyltransferase) 유전자와의 관련성이다. 
 


MGMT(Methylguanine-DNA methyltransferase) 유전자란

MGMT(Methylguanine-DNA methyltransferase)은 유전자 손상에 대한 자연적인 방어 기전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이 특별한 유전자는 DNA를 수리하고 보호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MGMT은 DNA에 있는 메틸구아닌(methylguanine)이라는 유해한 손상을 제거함으로써 유전자 손상을 예방한다. MGMT은 DNA 손상에 의해 발생하는 유전자 변이와 암 발생을 방지하는 데 필수적이다. 메틸구아닌은 자연적인 환경 요소나 화학 물질 등으로 인해 DNA에 손상을 줄 수 있는데, MGMT은 이러한 손상을 신속하게 수리하여 유전자의 안전성을 유지한다. 이는 암과 같은 질병의 발생을 방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유전자는 통계적으로 인구의 1/3만이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MGMT 유전자와 테모달 치료

MGMT 유전자는 뇌종양 세포가 테모달에 대한 내성을 발달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유전자가 활성화되면, 종양 세포는 테모줄로마이드의 효과를 줄일 수 있는 물질을 생성한다. 따라서 MGMT 유전자가 높은 수준으로 활성화된 종양은 테모달 치료에 덜 반응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유로 뇌종양 치료에서 MGMT의 역할을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환자의 MGMT 유전자 상태를 평가하여 치료 계획을 결정해야 한다. 일부 환자의 경우 MGMT 유전자의 비활성화가 테모달 치료의 효과를 개선할 수 있다. 따라서 종양의 MGMT 상태를 고려한 맞춤형 치료 계획이 필요하다.

 

MGMT 유전자와 교모세포종 치료

의료진에 따라서는 환자의 상태를 보고 유전자 검사를 기다려 테모달 치료 여부를 결정한다. MGMT 유전자가 없을 경우 테모달 치료의 효과가 없어 방사선 치료만 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교모세포종이 재발했을 경우 유전자의 유무에 불구하고 테모달 치료를 진행하기도 한다. 그러므로 의료진과의 상담을 통해 치료계획을 수립하고 진행해야 한다. 
 

마무리

 
교모세포종은 치료하기 매우 어려운 질환 중 하나이며, 치료 과정에서 많은 변수가 발생할 수 있다. 테모달과 MGMT 유전자의 관계는 교모세포종 치료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이다. 테모달과 MGMT 유전자의 관계에 대한 이해는 환자와 보호자의 교모세포종 치료에 대한 이해를 도울 수 있으므로, 본인의 유전자 검사 결과를 이해하고 의료진의 치료 계획을 따라갈 필요가 있다.

300x250

댓글


TOP

TEL. 02.1234.5678 / 경기 성남시 분당구 판교역로